맨위로가기

레온 6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온 6세는 886년부터 912년까지 비잔티움 제국을 통치한 황제이다. 그는 바실리오스 1세와 에우도키아 잉게리나 사이에서 태어났으나, 미하일 3세의 아들이라는 의혹을 받았다. 레온은 아버지의 미움을 받으며 불우한 어린 시절을 보냈고, 공동 황제로 즉위했으나 모반 혐의로 유폐되기도 했다. 황제 즉위 후에는 《바실리카 법전》을 편찬하고, 교회에 대한 간섭을 시도했으며, 여러 차례 결혼을 시도하며 교회와 갈등을 겪었다. 대외적으로는 불가리아와의 전쟁에서 패배하고, 사라센의 침략을 받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그는 다작의 작가로 법률, 신학, 군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사후에는 예언자로 여겨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세기 통치자 - 앨프레드 대왕
    앨프레드 대왕은 9세기 웨식스 왕국의 왕으로, 앵글로색슨 잉글랜드를 통일하고 데인족의 침략을 막았으며, 법전 편찬과 교육 장려 등 문화 부흥에 기여하여 잉글랜드 역사상 존경받는 군주이자 성인으로 추앙받는다.
  • 10세기 통치자 - 콘스탄티노스 7세
    콘스탄티노스 7세는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로서 학문 연구를 장려하고, 《제국 통치론》, 《의식서》 등의 저술을 남겼으며, 주변국과의 관계 개선과 영토 확장에 노력했다.
  • 10세기 통치자 - 로마노스 1세
    로마노스 1세 레카페노스는 10세기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로, 쿠데타를 통해 권력을 장악하고 콘스탄티노스 7세의 장인이 되어 공동 황제가 된 후 스스로 정황제를 선포하여 통치했으며, 불가리아와의 평화 협상, 동방 영토 확장, 키예프 루스 침공 격퇴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말년에 아들들에 의해 폐위되었다.
  • 동로마 제국의 음악가 - 콘스탄티노스 7세
    콘스탄티노스 7세는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로서 학문 연구를 장려하고, 《제국 통치론》, 《의식서》 등의 저술을 남겼으며, 주변국과의 관계 개선과 영토 확장에 노력했다.
  • 동로마 제국의 음악가 - 다마스쿠스의 요안니스
    다마스쿠스의 요안니스는 7세기 말-8세기 초 기독교 신학자이자 찬송가 작가, 성상 옹호론자로, 우마이야 칼리프조에서 공직 생활을 하다 마르 사바 수도원에서 수도사로 활동하며 성상 파괴주의에 맞섰고, 기독교 교리를 집대성한 『지식의 샘』을 저술했으며, 정교회 예배에 큰 영향을 끼쳐 1890년 교회 학자로 선언되었다.
레온 6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성 소피아 대성당]]의 모자이크, 그리스도에게 경의를 표하는 레오 6세
성 소피아 대성당 모자이크 속 레오 6세
칭호로마인의 황제
이름레온 6세 "소포스" ("필로소포스")
로마자 표기Léōn ho Sophós, ho Philosophos
전체 이름레온
통치 기간886년 8월 29일 – 912년 5월 11일
대관식870년 1월 6일
대관식 종류대관식
선임자바실리오스 1세
후임자알렉산드로스
배우자테오파노 마르티나키아
조에 자우치나
에우도키아 바이아나
조에 카르보노프시나
자녀테오파노 소생: 에우도키아
조에 자우치나 소생: 안나
에우도키아 소생: 바실리오스
조에 카르보노프시나 소생: 안나, 콘스탄티노스 7세
왕조마케도니아
아버지바실리오스 1세 (공식)
미카엘 3세 (평판)
어머니에우도키아 잉게리나
종교그리스 정교회
공동 황제바실리오스 1세 (870–886)
콘스탄티누스 (870–879)
알렉산드로스 (879–912)
콘스탄티노스 7세 (908–912)
출생일866년 9월 19일
출생지콘스탄티노폴리스
사망일912년 5월 11일
사망지콘스탄티노폴리스
매장지성 사도 교회, 콘스탄티노폴리스
전체 칭호
전체 칭호 (번역)황제 카이사르 플라비우스 레오 경건하고, 행운이 있고, 유명하고, 승리했고, 개선했고, 항상 존경받는 아우구스투스, 신실한 바실레우스

2. 생애

레오 6세(중앙)와 바실리오스 1세(왼쪽), 12세기 요한 스킬리체스의 필사본


레오는 866년 9월 19일에 황제 바실리오스 1세와 황후 에우도키아 잉게리나 사이에서 태어났다.[3] 그러나 에우도키아는 미하일 3세의 정부였고, 미하일 3세는 바실리오스를 에우도키아와 결혼시켜 황궁으로 끌어들였다. 이 때문에 레온은 바실리오스가 아니라 미하일 3세의 아들이라는 의혹이 있었고,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는 레온이 미하일의 아들이라는 소문이 일반적이었다.[56] 바실리오스가 평생 레온을 미워한 점을 미루어 볼 때 이 의혹은 신빙성이 있어 보인다.[56]

레온은 어릴 때부터 아버지 바실리오스의 미움을 받았다. 바실리오스는 첫 번째 부인에게서 태어난 아들 콘스탄티노스만을 총애했고, 에우도키아에게서 낳은 레온 등 다른 아들에게는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879년 콘스탄티노스가 갑자기 죽자 그 미움은 더욱 심해졌고, 레온은 아버지에 의해 감금되어 눈이 뽑힐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870년에는 공동 황제로 즉위했다.[11] 872년경에는 포티오스가 소환되어 레온 등 바실리오스 1세의 아들들의 가정교사가 되었다. 882년에 어머니 에우도키아 잉게리나의 일족인 테오파노와 결혼했으나, 테오파노와 결혼한 직후 어머니가 사망하자 바실리오스 1세와 레온의 관계는 급속도로 악화되었다. 883년에는 모반 혐의를 받아 후계자 지위를 박탈당하고, 궁전 내 한 방에 886년 7월까지 3년여 동안 유폐되었다. 레온은 조이 자우치나라는 미녀를 사랑했는데, 바실리오스는 레온을 테오파노와 결혼시키고 레온이 조이와 만나지 못하게 했다.[13][14]

2. 1. 출생과 초기 생애

레온은 866년 9월 19일에 황제 바실리오스 1세와 황후 에우도키아 잉게리나 사이에서 태어났다.[3] 그러나 에우도키아는 미하일 3세의 정부였고, 미하일 3세는 바실리오스를 에우도키아와 결혼시켜 황궁으로 끌어들였다. 이 때문에 레온은 바실리오스가 아니라 미하일 3세의 아들이라는 의혹이 있었고,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는 레온이 미하일의 아들이라는 소문이 일반적이었다.[56] 바실리오스가 평생 레온을 미워한 점을 미루어 볼 때 이 의혹은 신빙성이 있어 보인다.[56]

레온은 어릴 때부터 아버지 바실리오스의 미움을 받았다. 바실리오스는 첫 번째 부인에게서 태어난 아들 콘스탄티노스만을 총애했고, 에우도키아에게서 낳은 레온 등 다른 아들에게는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879년 콘스탄티노스가 갑자기 죽자 그 미움은 더욱 심해졌고, 레온은 아버지에 의해 감금되어 눈이 뽑힐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870년에는 공동 황제로 즉위했다.[11] 872년경에는 포티오스가 소환되어 레온 등 바실리오스 1세의 아들들의 가정교사가 되었다. 882년에 어머니 에우도키아 잉게리나의 일족인 테오파노와 결혼했으나, 테오파노와 결혼한 직후 어머니가 사망하자 바실리오스 1세와 레온의 관계는 급속도로 악화되었다. 883년에는 모반 혐의를 받아 후계자 지위를 박탈당하고, 궁전 내 한 방에 886년 7월까지 3년여 동안 유폐되었다. 레온은 조이 자우치나라는 미녀를 사랑했는데, 바실리오스는 레온을 테오파노와 결혼시키고 레온이 조이와 만나지 못하게 했다.[13][14]

2. 2. 황제 즉위와 통치

레온 6세는 886년 아버지 바실리오스 1세가 갑작스러운 사고로 사망하자, 동생 알렉산드로스와 함께 황제에 올랐다.[16] 레온은 포티우스 등 당대 최고의 학자들에게 교육받아 학문적 소양이 뛰어났으며, 즉위 후 미하일 3세의 유해를 성 사도 교회에 새로 매장하는 것으로 치세를 시작했다.[16] 또한 자신의 첫사랑이자 정부인 조이 자우치나의 아버지 스타일리아노스 자우체스를 정치 자문으로 삼고,[17]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포티우스를 해임하고 자신의 동생 스테파노스를 그 자리에 임명하였다.[22]

바실리오스 1세와 레온 6세


|thumb|200px|레온 6세의 금화 솔리두스]]

레온은 아버지가 추진하던 로마법 개정사업을 이어받아 《바실리카 법전》을 완성했다.[27] 이 법전은 유스티니아누스 1세 이후의 법전을 대체하는 것으로, 그리스어로 만들어졌다. 레온은 스타일리아노스 자우체스와 환관 사모나스 등 측근을 중심으로 정치를 운영했으며,[17][18] 포카스 가문과 두카스 가문 등 유력 귀족 가문을 통제하려 했으나, 이는 안드로니코스 두카스의 반란과 같은 갈등을 야기하기도 했다.[19][20]

|thumb|사모나스가 안드로니코스 두카스에 대항하도록 레온 황제를 선동하는 모습]]

레온은 총대주교 자리에 대한 자의적인 간섭을 통해 교회에 관여하려 했다.[21] 총대주교 포티오스를 해임하고 자신의 동생 스테파노를 임명했으며,[22] 스테파노가 사망한 후에는 안토니우스 2세 카울레아스를, 그 후에는 니콜라스 미스티코스를 임명했다.[23] 그러나 니콜라스 미스티코스는 암살 시도 연루 의혹과 레온의 네 번째 결혼 반대로 인해 유티미오스로 교체되었다.[24]

|thumb|14세기 콘스탄틴 마나세스 연대기에 묘사된 레온 6세에 대한 암살 시도와 마자르족의 습격]]

라르나카의 성 라자로 교회는 레온 6세 치세에 건설되었으며,[25] 성 라자로의 유해가 크레테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옮겨진 후 지어졌다.[26] 레온은 변장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를 돌아다니며 불의나 부패를 찾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며, 도시 경비에게 체포되었다가 풀려난 후 경관에게 보상을 했다는 일화도 있다.

|thumb|레온 6세와 콘스탄티누스 7세 포르피로게니투스의 금 솔리두스, 908-912]]

레온은 아들 콘스탄티누스 7세를 황위 계승자로 만들기 위해 908년 공동 황제로 즉위시켰다.[46] 레온 6세는 912년 사망했고,[47] 동생 알렉산드로스가 황위를 계승했다.[48]

|thumb|총대주교 에우티미우스 1세가 콘스탄티누스 7세를 즉위시키는 모습.]]

2. 3. 대외 정책

레온 6세는 대외 정책에서 여러 차례 어려움을 겪었다.[28] 894년 불가리아 제1제국시메온 1세와 전쟁을 일으켰으나, 896년 불가로피곤 전투에서 패배하고 매년 공물을 바치는 조건으로 강화해야 했다.[29][31] 레온은 마자르족에게 뇌물을 주어 불가리아를 공격하게 했으나, 불가리아는 페체네그인을 매수해 마자르족을 공격하게 하여 실패했다.[30]

불가로피곤 전투에서 도망치는 비잔틴인들, ''마드리드 스킬리체스'' 삽화


레오 6세가 궁정에서 불가리아 사절단을 맞이한다.


사라센은 제국이 불가르족과 전투를 하는 틈을 타서 남부 이탈리아로 다시 진출했고, 902년 시칠리아에 마지막으로 남은 제국의 영토마저 점령했다.[33] 동방에서도 무슬림들이 킬리키아와 아르메니아를 침공했고, 904년에는 배신자 트리폴리의 레오가 테살로니카를 약탈했다.[35]

트리폴리의 레오 휘하의 아랍 함대가 테살로니카를 약탈한다.


900년에 타르수스 토후국과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아랍 군대가 전멸하고 에미르 자신이 포로로 잡혔지만, [32], 911-912년 히메리오스 휘하의 대규모 원정대는 크레타를 회복하려다 실패했다.[35]

907년에는 키예프 루스가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공격했으나, 레오는 뇌물을 주고 그들을 돌려보냈다. 911년에 다시 공격해오자, 무역 조약을 체결하였다.[36]

노브고로드의 올레그 공이 콘스탄티노폴리스 성벽에 자신의 방패를 못 박는 모습.


한편 레오는 새로운 ''테마''인 메소포타미아를 창설하고, 902년 아르메니아에 대한 비잔틴 침공, 테오도시오폴리스 약탈, 아랍 ''투구르''에서의 성공적인 습격을 통해 동부 국경에 압력을 가했다.[34]

2. 4. 네 번의 결혼과 교회와의 갈등

레온 6세는 적법한 황위 계승자를 얻기 위해 여러 번 결혼했으나, 이는 큰 스캔들을 일으켰다.[37] 첫 번째 부인 테오파노는 바실리우스 1세가 강요한 결혼으로, 레온은 그녀를 증오했다.[38] 테오파노는 독실한 신앙인이었으며, 둘 사이에는 딸이 하나 있었으나 어린 나이에 죽었다.[51] 897년 테오파노가 죽자,[39] 레온은 고문관 스타일리아노스 자우체스의 딸 조에 자우치나와 결혼했지만,[40] 899년에 조에도 사망했다.[39] 이 결혼으로 레온은 장인에게 ''바실레오파토르''(황제의 아버지)라는 칭호를 수여했다.[40]

황후 테오파노, 11세기의 바실 2세의 메놀로기온에 묘사되어 있음.


조에가 사망한 후, 레온은 에우도키아 바이아나와 세 번째 결혼을 했으나, 에우도키아는 901년에 사망했다.[42] 에우도키아와의 사이에서 얻은 아들 바실도 며칠 살지 못하고 죽었다.[54] 당시 교회법상 네 번째 결혼은 엄격히 금지되었기에,[43] 레온은 조이를 첩으로 삼았다.[44] 905년 조이가 아들을 낳자, 레온은 조이와 정식으로 결혼하려 했지만,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니콜라스 미스티코스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혔다. 레온은 니콜라스 미스티코스를 유티미우스로 교체하고,[45] 교황 세르지오 3세와 손을 잡아 교황의 허가를 얻어 네 번째 결혼을 공식화했다. 이로써 아들 콘스탄티노스에게 ''포르피로게니투스''(황실에서 태어난 황태자)의 지위를 부여하는 데 성공했다.

이무렵 황제는 교회의 힘을 누르고 황제의 권력을 강화했으며, 자신의 사혼에 반대하던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니콜라오스 1세를 축출하고 교회에 대한 우위를 나타낼 수 있었다.

|thumb|레온 셉터.]]

2. 5. 죽음

레온 6세는 912년 5월 11일에 사망했다.[47] 그의 뒤를 이어 동생인 알렉산드로스가 즉위했는데, 그는 879년부터 아버지와 형과 함께 황제로 통치해왔다.[48] 알렉산드로스는 13개월 후 사망했고, 콘스탄티누스가 그 뒤를 이었다. 콘스탄티누스가 성년이 되기 직전에 그의 섭정 중 한 명이 스스로를 선임 공동 황제인 로마노스 1세로 만들었다. 로마누스는 자신의 딸을 콘스탄티누스와 결혼시켰고, 그들의 아들은 959년 콘스탄티누스 사망 후 로마노스 2세로 황제가 되었다.

3. 유산 및 평가

레온 6세는 다작의 작가로, 정치 연설, 전례 시, 신학 논문 등 다양한 주제와 스타일의 작품을 남겼다. 그는 콘스탄티노플의 교회에서 매우 정교하고 복잡한 설교를 직접 하기도 했다.

레온은 아버지 바실리오스 1세의 뜻을 이어받아 기존 비잔틴 법률을 모두 성문화하는 법률 위원회를 설립했다. 그 결과물이 바로 60권으로 구성된 6권의 작품인 ''바실리카''이다. 그리스어로 작성된 ''바실리카''는 ''로마법 대전''에 보존된 거의 모든 법률을 번역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이후 모든 비잔틴 법률의 기반을 제공했다. 레오는 자신의 통치 기간 동안 발행된 새로운 법률인 "소설" 또는 "새로운 법률"을 ''바실리카''에 통합했다. 이 법률은 네 번째 결혼 금지와 같은 당대의 문제들을 다루었으며, 교회법(교회법)과 세속법 모두에 관련되어 있었다. ''바실리카''와 소설은 쿠리아, 로마 원로원, 집정관과 같은 구식 제도를 법적 관점에서 제거하여, 비잔틴 제국이 로마 제국, 로마 공화국 시대부터 물려받은 남은 법적 및 헌법적 구조를 상당 부분 없앴다.[49]

''전술론''


''지방 장관 서''와 필로테오스의 ''클레토롤로기온'' 또한 레오의 이름으로 발행되었으며, 그의 정부가 조직과 공공 질서 유지에 관심을 기울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에파르크 서''는 콘스탄티노플의 무역 및 무역 기구에 대한 규칙과 규정을 설명했고, ''클레토롤로기온''은 비잔틴 궁정의 관리와 계급을 표준화하려는 시도였다. 레오는 군사 작전에 대한 주목할 만한 논문인 ''전술론''의 저자이거나 후원자로 알려져 있다.[50]

이후 세대들은 레오를 예언자이자 마법사로 여겼으며, ''현명한 레오의 신탁''이라 불리는 예언 시 모음집과 점성술 텍스트가 그의 이름으로 덧붙여져 세계의 미래를 예언한다고 믿어졌다.

레오는 890년에 성 라자로의 유물을 콘스탄티노플로 옮긴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는 라자로의 토요일에 동방 정교회에서 불려지는 여러 스티케라 (찬송가)와 십자가 현양 축일의 대축일에 불려지는 찬송가를 작곡했다.

4. 더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Leon VI https://www.degruyte[...]
[2] 서적 Novela 1 https://books.google[...]
[3] 서적 Tougher https://books.google[...]
[4] 서적 Treadgold
[5] 서적 Norwich
[6] 서적 Finlay
[7] 논문 L'Age et l'origine de l'empereur Basil I.
[8] 서적 The Armenians in the Byzantine Empire
[9] 서적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10] 서적 Treadgold
[11] 서적 Kazhdan
[12] 서적 Gregory
[13] 서적 Norwich
[14] 서적 Treadgold
[15] 서적 Treadgold
[16] 서적 Finlay
[17] 서적 Treadgold
[18] 서적 Finlay
[19] 서적 Kazhdan
[20] 서적 Treadgold
[21] 서적 Finlay
[22] 서적 Norwich
[23] 서적 Kazhdan
[24] 서적 Treadgold
[25] 웹사이트 Father Demetrios Serfes – Life of Saint Lazarus https://web.archive.[...] 2009-09-21
[2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Byzantine Empire
[27] 서적 Norwich
[28] 서적 Finlay
[29] 서적 Treadgold
[30] 서적 Norwich
[31] 서적 Treadgold
[32] 서적 Treadgold
[33] 서적 Gregory
[34] 서적 Treadgold
[35] 서적 Treadgold
[36] 서적 Treadgold, p. 469
[37] 서적 Norwich, p. 114
[38] 서적 Apud Gilbert Dagron, Emperor and Priest:the Imperial Office in Byzantiu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39] 서적 Treadgold, p. 465
[40] 서적 Norwich, p. 113
[41] 서적 Gregory, p. 227
[42] 서적 Treadgold, p. 466
[43] 서적 Finlay, p. 312
[44] 서적 Norwich, p. 115
[45] 서적 Kazhdan, p. 1211
[46] 서적 Kazhdan, p. 502
[47] 서적 Kazhdan, p. 1211
[48] 서적 Gregory, p. 228
[49] 서적 Finlay, p. 308
[50] 서적 Kazhdan, p. 1211
[51] 서적 Norwich, p. 112
[52] 서적 Norwich, p. 113
[53] 서적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Vol. III: c. 900–c. 1024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54] 서적 Norwich, p. 114
[55] 서적 Norwich, p. 115
[56] 서적 비잔티움 연대기 제2권:번영과 절정 바다출판사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